2000년~2005년2002_음악활동이 미혼모의 불안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_최유리

한국한부모연합
2022-08-05
조회수 346
  • 저자 : 최유리
  • 연도 : 2002
  • 학술지명 및 학회명 : 한국음악치료학회
  • 학회 대분류 : 예술체육학
  • 학회중분류 : 음악학
  • 분류 : 심리
  • 독립(양방만) : 음악 활동
  • 종속(양방만) : 불안, 자아존중감
  • 원문제공처 : 교보문고(교보 Scholar)
  • 검색어 : 미혼모
  • 분류 : 한부모 당사자
  • 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on anxiety and self-esteem in unmarried mother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four weeks from April 10 to May 8, 2002. The subjects were twenty-five unmarried mother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staying at a shelter for unmarried mothers located in Choonchun, Kangwon-do. Data were collected from seventeen of the twenty-five subjects(elev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x from the control group). Incomplete data from eight subjects who left the shelter during the study were not included in the final study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musical activities for sixty-minutes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 total of eight session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routine non-music programs related to art and color. The music activitie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ongwrit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listening to music and discussion, song selection, and lyric discussion. To gauge changes in anxiety and self-esteem, each scale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each of the eight treatments. Independent t-tests were employed in the study comparing the scores on the states of anxiety and self-esteem between two group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degrees of anxiety and self-esteem(p < .05). These results imply that music activities may be an effective tool for unmarried mothers to decrease anxiety and to increase self-esteem.



본 연구는 음악활동이 미혼모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상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미혼모 보호시설에 입소하여 보호를 받고 있는 10대와 20대의 미혼모 25명으로 연구는 2002년 4월 10일부터 5월 8일까지 4주간에 걸쳐 시행되었다. 출산과 퇴소를 이유로 8명이 제외된 17명(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6명)의 데이터가 통계처리 되었다. 실험집단은 4주동안 주 2회 1시간씩, 총 8회의 음악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교육인 미술작업과 컬러믹스 활동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 제공된 음악활동은 송라이팅, 악기연주, 음악감상과 토론, 그리고 노래선택과 가사토의 등이었다. 연구자는 이들의 상태불안과 자아존중감 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8회의 처치 전과 후에 검사를 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독립 t 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상태불안에서 실험집단의 불안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p< .05), 자아존중감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p< .05). 이와 같은 결과는 음악활동이 미혼모의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반영한 것이다.

0 0

고유번호증번호 :  214-80-10171       /    * 대표자 : 장희정    /     개인정보취급방침   /  CMS 이용약관

* 주소 :  (07944) 서울시 양천구 오목로 181, 4층 

* 대표전화 :  02-826-9925          * 팩스:  02-826-9924           * 이메일 :hanbumo20@hanmail.net

* 한부모고충 통합상담전화 : 1533-3510       * 후원문의 :  02-826-9925        

* 후원링크 : https://online.mrm.or.kr/wXByN4A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한부모연합에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2  Korea Single Parents  Association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