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2005년2003_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_송다영

한국한부모연합
2022-08-05
조회수 326
  • 저자 : 송다영
  • 연도 : 2003
  • 학술지명 및 학회명 : 한국사회복지학회
  • 학회 대분류 : 사회과학
  • 학회중분류 : 사회복지학
  • 분류 : 정책-사회적배제
  • 원문제공처 : 교보문고(교보 Scholar)
  • 검색어 : 모자가족
  • 분류 : 한부모가족
  • 영문초록 : The study starts from the critical thought on why most of female-headed single-parent families are under poverty regardless of their hard working. The study is to explore the lives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as working poor and to develop comprehensive policies for them out of poverty and other social vulnerability, using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which has been broadly introduc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cess of social exclusion of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by comparing the differential lives in the economic, social, political aspects among male-headed dual-parent household, female-headed single-parent household, and poor female-headed lone-parent household who is under the public poverty line. The study wa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analysis. A total of 3182 samples(the first 2508, the second 235, and the third 439) were included. Using SAS 6.12, frequency, chi-square, means, and ANOVA were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single mothers, on the whole, are vulnerable population in terms of employment, housing stability and income. Also, low-income households of single mothers ar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the IMF economic crisis and carry more pessimism on their future. In comparison with male-headed households, single mothers have fewer support from social insurance as well as family resources and higher burdens of additional caring need for the old, the disabled, and the chronically ill. These findings identify the reality in which female-headed households with dependent children are exposed to the overall social vulnerability and thus are easily trapped into the social disadvantaged.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olicies and counter-measurements for low-income female-headed families to be the primary member in our society.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의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 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었다.

0 0

고유번호증번호 :  214-80-10171       /    * 대표자 : 장희정    /     개인정보취급방침   /  CMS 이용약관

* 주소 :  (07944) 서울시 양천구 오목로 181, 4층 

* 대표전화 :  02-826-9925          * 팩스:  02-826-9924           * 이메일 :hanbumo20@hanmail.net

* 한부모고충 통합상담전화 : 1533-3510       * 후원문의 :  02-826-9925        

* 후원링크 : https://online.mrm.or.kr/wXByN4A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한부모연합에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2  Korea Single Parents  Association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