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_청소년 임신 출산의 경향과 사회적 대책_윤혜미
0
0
1999_청소년 임신 출산의 경향과 사회적 대책_윤혜미
* 고유번호증번호 : 214-80-10171 / * 대표자 : 장희정 / 개인정보취급방침 / CMS 이용약관
* 주소 : (07944) 서울시 양천구 오목로 181, 4층
* 대표전화 : 02-826-9925 * 팩스: 02-826-9924 * 이메일 :hanbumo20@hanmail.net
* 한부모고충 통합상담전화 : 1533-3510 * 후원문의 : 02-826-9925
* 후원링크 : https://online.mrm.or.kr/wXByN4A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한부모연합에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2 Korea Single Parents Association . All rights reserved.
십대 청소년 임신이 늘고 있다. 인간의 일생에서 `청소년기`와 `부모됨`은 매우 중요한 인생의 전환점이다. 그런데 이 두가지가 한꺼번에 진행되면 청소년 자신의 `부모 역할`을 감당할 준비와 여기에 대용할 사회환경적 능력사이에 심각한 괴리가 생긴다. 십대청소년의 임신은 청소년 개인에게도, 그리고 출산할 경우 그 아이에게도 또한 사회에게도 중대한 부담을 지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 임신의 실태와 특징을 파악하고 그 원인과 결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정리한 후 효과적인 대응 방법을 논하였다. 청소년 임신문제를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부가 청소년 임신을 청소년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명확한 정책방향을 설정하여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는 청소년을 성적 주체로 보되, 가능한 한 성행동을 지연시키면서 책임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그래도 임신이 되었을 경우에는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소년과 그들의 아기들이 정상적인 삶의 궤적을 되찾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방차원의 접근으로는 청소년의 연령에 맞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성교육의 강화를, 그리고 이미 임신이 된 청소년들에 대한 보호차원의 접근으로는 미혼모에 대한 서비스, 미혼부에 대한 서비스와 미혼부 양육 책임제의 도입, 그리고 가족과 학교 및 지역사회의 지지망 강화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