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_아동의 부모 사별경험 유무에 따른 동작성 가족화(K-F-D)검사의 인물상의 특징, 활동내용, 스타일 반응연구_황미현, 장연집

한국한부모연합
2022-07-22
조회수 221
  • 저자 : 황미현, 장연집
  • 연도 : 1999
  • 학술지명 및 학회명 : 한국미술치료학회
  • 학회 대분류 : 사회과학
  • 학회중분류 : 교육학
  • 분류 : 심리 - 동작성 가족화 검사
  • 독립(양방만) : 자녀 (사별경험 아동)
  • 종속(양방만) : 동작성 가족화 검사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s), 사별반응, 변화된 가족역동, 가족성원에 대한 감정과 인식
  • 원문제공처 : 교보문고(교보 Scholar)
  • 검색어 : 사별가족
  • 분류 : 사별경험
  • 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bereaved children' s response, (2) to design psychological education program which support bereaved children.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7 intact children and 70 bereaved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Kinetic Family Drawing Test, the K-F-D questionnaire and 22 variables K-F-D scoring manual. Statistical method adopted for data analysis was chi squar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act children's "Figure Characteristic If response and bereaγed children’s. The younger grade bereaved children obtainεd higher maladjustment score in shading and oblique line, evasion, number of family, and the location of self. Male grade bereaved children obtained higher maladjustment score in arm extension, shading and oblique line, evasion, number of family, and the location of self.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act children's "Action" response and bereaved children’s. The younger grade bereaved children obtained higher maladjustment score in baniers, activity level of mother, activity level of self, interaction of figure. interaction with self. Male grade bereaved children obtained rugher maladjustment score in baniers, activity level of mother, activity level of self, interaction of figures, interaction with self.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act children's "Style" response and bereaved children's The younger grade bereaved children obtained higher maladjustment score in underlining variables and encapsulation. Male grade bereaved children obtained higher maladjusunent score in underlining variables and encapsula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K-F-D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flicts and problem felt from family members in bereaved children.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xamine other variables of bereavements



사별이란 죽음으로 인해 사랑하는 사람을 상실하는 것으로 아동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1차적 환경이 되는 가족성원 중 특히 부모와의 사별은 아동에게 있어 정서적 · 사회적 · 경제적 지지를 해주는 한 개인의 일생에 있어 가정 중요한 사회적 지지원을 상실하는경험이다(Guthrie외, 1997). 또한 아동기는 발달수준이 아직 미성숙하고 죽음에 대한 대처능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 시기는 사별로 인해 겪게 되는 여려 가지 고통에 보다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Osterweis, 1984). 부모의 죽음은 사별당한 아동에게 다양한 측면의 사별반응을 유발시킬뿐만 아니라, 이러 사별경험은 아동기 후기 · 청소년기 · 성인기 걸쳐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죽음은 아동뿐만 아니라 생존부모, 형제 · 자매를 비롯하여 그들과의 관계, 가정의 전체적인 분위기 그리고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 등과 같은 가족역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사별을 경험한 아동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느 사별이후 변화된 가족역동, 가족성원과 관련된 그들의 감정 및 인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0 0

고유번호증번호 :  214-80-10171       /    * 대표자 : 장희정    /     개인정보취급방침   /  CMS 이용약관

* 주소 :  (07944) 서울시 양천구 오목로 181, 4층 

* 대표전화 :  02-826-9925          * 팩스:  02-826-9924           * 이메일 :hanbumo20@hanmail.net

* 한부모고충 통합상담전화 : 1533-3510       * 후원문의 :  02-826-9925        

* 후원링크 : https://online.mrm.or.kr/wXByN4A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한부모연합에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2  Korea Single Parents  Association . All rights reserved.